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형법상 배임죄 폐지 공식화 – 쟁점과 영향 총정리

by gogobig1 2025. 10. 1.
반응형

형법상 배임죄 폐지 공식화 – 쟁점과 영향 총정리

목차



배임죄 폐지 결정 배경

형법상 배임죄는 1953년 최초 도입 이후 70년 넘게 유지되어 온 대표적 경제 형벌 조항이었다. 최근 당정은 과도한 경제 형벌이 기업 경영과 투자, 자영업·소상공인들의 정상적 활동까지 위축시킨다는 지적을 받아들여 배임죄 폐지를 공식화했다.

주요 발표 내용 및 방향

정부와 여당은 2025년 9월 30일 국회 협의에서 형법상 배임죄 조항을 폐지하고, 법적 공백 방지를 위해 별도의 대체 입법을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처벌 위주에서 민사책임, 징벌적 배상 등 피해자 보호 위주로 방향을 잡는다. 과도한 형벌 대신 민사 배상 책임과 집단소송제, 디스커버리제도(증거개시) 확대도 논의 중이다.

정치적 논란과 입장

정부·여당은 경제 활성화 차원임을 강조했으나, 야당은 ‘이재명 대통령 관련 재판을 염두에 둔 것’이라며 ‘이재명 구하기법’ ‘꼼수’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재계는 경영 판단의 범죄화 완화라며 환영했고, 시민사회와 법조계 일부는 ‘기업 범죄에 면죄부 우려’ ‘소액주주·공익 침해’ 등 반대 의견을 개진했다.

사회적·법적 파장

배임죄 폐지로 대기업, 금융, 공기업 임직원 등 경영 의사결정의 형사처벌 위험이 줄어들 전망이다. 다만, 대체 입법이 미비할 경우 법적 책임·감시 공백 우려 역시 존재한다. 정부는 중요 범죄 공백이 없도록 처벌 범위를 명확히 하고 실질적 민사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반응형